에프아이알이
인플레이션에 살펴봐야 하는 6가지 투자 전략 본문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통장에 다량의 현금을
보유하는 선택은
현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선택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투자 판에 뛰어들기도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전반적으로 물가가 오르고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주목해야 할
6가지 자산에 대해서 살펴보자.
1. 금

금은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가장 훌륭한 자산으로 평가되어 왔다.
아직도 적지 않은 사람들은
금을 화폐의 대체품 정도로 여긴다.
금은 원자재의 성격도 띄고 있고,
화폐의 대체품의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현물 자산으로써의 금은
화폐 가치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에서
아직도 매우 훌륭한 투자 대상으로 평가된다.
비교적 쉽게 현금으로 바꿀 수도 있고,
소장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에
비상의 상황을 대비해서
금을 구매하는 사람들도 있다.
실제로 인플레이션이 진행될수록
금의 가치도 함께 올라가는 트렌드를 보인다.
인플레이션이 예상 된다면
금을 미리 사 두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금을 직접 구매할 수 없다면,
금과 관련된 펀드나
파생 상품이나
ETF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시장에서 금과 관련된 상품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도 없다.
2. 원자재

인플레이션의 주된 원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서 비롯된다.
곡물이나, 미세 금속, 천연자원
전기, 석유, 식품, 천연가스 등의
가격이 오름에 따라서
생활 물가도 함께 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된다면
원자재 관련 상품에 투자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원자재 관련 상품 중에는
선물 형식의 상품이나
파생 상품들이 많기 때문에
투자야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 상품을 찾는다면
원자재 관련 ETF나
원자재를 다루는 관련 회사의 주식의
투자를 고려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3. 주식 60과 채권 40의 포트폴리오

전통적으로 주식과 채권을 함께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구성한다.
가장 안정적인 투자 방법으로 평가되고
가장 보수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여겨진다.
인플레이션에도 기존과 동일한
혹은 비슷한 수주의 수익을 기대한다면
주식과 채권을 60:40의 비율로 투자한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것이 좋다.
이 전통적인 방식은
펀드 상품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DGSIX 펀드는 주식60, 채권40으로 구성한
Dimensional DFA Global Allocation 60/40 Portfolio
펀드 상품이다.
4. 수익형 부동산과 리츠REITs

인플레이션은
부동산 가격 상승을 함께 수반한다.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이지만,
부동산에 투자할 만큼
대량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수익형 부동산 투자의 일환으로
리츠REITs 상품이 있다.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크라우딩 펀딩처럼
소액을 투자한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츠 상품의 경우에는
배당과 비슷한 개념으로
부동산의 임대 수입을
투자자들에게 공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대형주와 S&P 500

장기적으로 봤을 때,
주식 시장에서
가격 상승의 가장 큰 잠재력을 갖은 투자처는
S&P 500이다.
미국 시장에서 시가 총액 상위 500개 기업을 의미하는 이 지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KODEX와 같이 시가총액 상위 100종목에 투자한
ETF 상품이 존재하며
대형주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투자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형주 투자도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한가지 방법이다.
6. 물가 연동 국채 TIPS

물가 연동 국채TIPS는
일반 채권과 동일한 성격을 갖지만
물가와 연동해 물가가 오르면
채권의 원금이 늘어나는 특징이 있다.
즉, 원금이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 조정된다.
미국이 발행하는 물가 연동 국채는
5년, 10년, 20년 등 장기적인
기간 동안 일정한 수준의 수익을 보장한다.
'사소한 금융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관리 정책, 물가안정목표제Inflation Targeting 란? (0) | 2021.03.23 |
---|---|
인플레이션에서 자산을 지킬 수 있는 투자 (0) | 2021.03.22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7가지 현상 (0) | 2021.03.21 |
투자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능동적 투자와 수동적 투자 (0) | 2021.03.12 |
나에게 맞는 투자 유형은 무엇일까? (0) | 202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