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아이알이

파이어족으로 생활하면서 지속 가능한 생활은 환경적 책임감을 바탕으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방식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개인적인 선택과 생활 습관을 통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입니다. 파이어족 운동과 마찬가지로, 지속 가능한 생활도 계획적이고 의식적인 노력을 필요합니다. 1. 에너지 효율적인 생활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 제품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줄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전기 요금을 절약하고 환경 보호에도 도움이 됩니다. 집의 단열을 개선하면 난방과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창문을 더블 글레이징으로 바꾸거나, 벽과 지붕에 단열재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2. 최소한의 소비와 제로 웨이스트 단순하고 절제된 생활을 유지하면 필요하지 않은 ..

빚이 있으면 파이어족이 될 수 없다. 어디선가 이런 글을 읽은 것 같다. 빚이 있으면 파이어족이 될 수 없으니 빚을 가장 먼저 갚아야 한다는 식의 글이었다. 나는 글을 끝까지 읽고는 머릿속에서 물음표를 지울 수가 없었다. 파이어족이 되려면 빚을 지지 말아야 하는 건가? 자본주의 사회를 살면서 돈의 속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똑똑하게 활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 돈에는 투자를 할 수 있는 자본도 있지만, 미래의 자본을 미리 쓰는 빚도 있다. 빚의 속성 (빚) '자본주의' 솔직히 말만 들어도 어렵다. 한마디로 정의할 수도, 간단하게 설명할 수도 없는 복잡한 철학이지만,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자본주의 사회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이해하는 사람들 retiring-early.tistory.com 빚은 자본주..

우리가 사는 공간을 이야기할 때, '집'이라는 말보다 '아파트'라는 단어를 더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활공간으로써의 집을 투자의 대상처럼 부를 때, 부동산, 혹은 아파트라고 부른다.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투자와 아파트값은 유사 동의어처럼 쓰였다. 전통적이고 아주 오랫동안 애증의 대상이 되어온 것이 우리네 생활공간, 부동산이다. 파이어족이 되겠다고 결심한 순간부터 집에 대한 시선이 달라진다. 투자 자산으로써의 부동산과 생활공간으로써의 집을 구분하기 시작한다. 이전에는 이 둘이 마구 섞여 중간 어디쯤에 있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었다면, 은퇴를 준비한 이후부터 생활공간으로써의 집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가끔 신문이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서 부동산을 투자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며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