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아이알이
11가지 가장 필수적인 주식 차트 패턴 본문
주식 차트 패턴은 기술적 분석 전략의 일부로 활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거래 도구입니다.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차트 패턴은 시장 추세를 찾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외환, 주식, 상품 등을 포함한 모든 시장을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주식 차트 패턴은 금융 시장을 거래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일반적인 차트 패턴입니다. 가장 중요한 11가지 주식 차트 거래 패턴에 대한 가이드는 대부분의 금융 시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술적 분석을 시작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1. 상승삼각형
상승 삼각형은 상승세의 '지속' 차트 패턴으로, 이는 삼각형 선이 수렴하는 지점에서 돌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패턴을 그리려면 저항점에 수평선(저항선)을 배치하고 지지점을 따라 상승선(상승 추세선)을 그려야 합니다.
2. 하강 삼각형
상승 삼각형과 달리 하강 삼각형은 약세 시장 하락 추세를 나타냅니다. 지지선은 수평이고 저항선은 하락하고 있어 하향 돌파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3. 대칭삼각형
대칭 삼각형의 경우 두 개의 추세선이 만나기 시작하며 이는 어느 방향에서든 돌파를 의미합니다. 지지선은 상승 추세로 그려지고, 저항선은 하락 추세로 그려집니다. 돌파는 어느 방향으로든 일어날 수 있지만, 시장의 일반적인 추세를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4. 페넌트
페넌트는 설정된 지점에서 만나는 두 개의 선으로 표시됩니다. 추세가 같은 방향으로 계속되기 전에 거래자가 일시 중지되고 가격이 통합되는 강한 상승 또는 하락 움직임 후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깃발
플래그 주식 차트 패턴은 경사진 직사각형 모양으로, 돌파가 발생할 때까지 지지선과 저항선이 평행하게 이어집니다. 돌파는 일반적으로 추세선의 반대 방향이므로 이것이 반전 패턴임을 의미합니다. 돌파 주식 패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6. 웨지
웨지 패턴은 지지선과 저항선 사이의 긴박한 가격 움직임을 나타내며, 이는 상승 쐐기형 또는 하락 쐐기형일 수 있습니다. 삼각형과 달리 쐐기는 수평 추세선이 없으며 두 개의 상승 추세선 또는 두 개의 하락 추세선이 특징입니다.
하향 쐐기형의 경우 가격이 저항선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승 쐐기형의 경우 가격이 지지선을 돌파할 것으로 가정됩니다. 이는 돌파가 일반적인 추세와 반대이기 때문에 쐐기가 반전 패턴임을 의미합니다.
7. 이중 바닥
이중 바닥은 문자 W와 유사하며 가격이 지지 수준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두 번 실패했음을 나타냅니다. 추세 반전을 강조하는 반전 차트 패턴입니다. 지지선을 두 번 돌파하는데 실패한 후, 시장 가격은 상승 추세로 이동합니다.
8. 더블탑
이중 바닥과 반대되는 이중 천장은 문자 M과 매우 유사합니다. 추세는 저항선을 두 번 돌파하지 못한 후 반전 국면에 들어갑니다. 그런 다음 추세는 지지선을 다시 돌파하고 지지선을 돌파하는 하향 추세를 시작합니다.
이중 천장 및 바닥 패턴 거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9. 헤드 앤 숄더
헤드 앤 숄더 패턴은 강세장에서 하락장으로의 반전을 예측하려고 합니다. 양쪽에 두 개의 작은 봉우리가 있는 큰 봉우리가 특징인 이 세 가지 수준은 모두 동일한 지지 수준으로 돌아갑니다. 그런 다음 추세는 하향 움직임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10. 상단 또는 하단 반올림
상단 또는 하단 반올림 패턴은 일반적으로 강세 상승 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둥근 상단은 일반적으로 약세 하향 추세를 나타냅니다. 트레이더는 저항선을 돌파하는 추세를 활용하여 U자형 중앙에서 매수할 수 있습니다.
11. 컵과 손잡이
컵과 손잡이 패턴은 강세 시장 추세를 나타내는 잘 알려진 연속 주식 차트 패턴입니다. 위의 둥근 바닥과 동일하지만 둥근 바닥 뒤에 손잡이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손잡이는 깃발이나 페넌트와 유사하며, 일단 완료되면 강세 상승 추세에서 시장 돌파를 볼 수 있습니다.
'사소한 금융 지식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린저 밴드와 투자 활용법 (0) | 2024.04.06 |
---|---|
주식을 바라보는 방법, 상향식 투자와 하향식 투자 (0) | 2024.04.05 |
주식차트, 기술지표 활용하기, 이동 평균, 상대 강도 지수(RSI), 이동 평균 수렴 발산(MACD), EMA, SMA (0) | 2024.03.13 |
주식 차트 읽기, 지지선과 추세선을 활용한 투자 전략 (0) | 2024.03.12 |
주식 차트 분석, 추세, 지지와 저항, 볼륨, 투자 전략, 상승 트렌드 식별, 하락 트렌드 식별, 매수 전략과 손절 타이밍 등 (0) | 2024.03.11 |